메뉴 건너뛰기

글 수 1,092
HSJ_6299.jpg

높이는 683.2m로, 능선길로 1.5km 정도 떨어져 적갑산과 마주보고 이어져 있다. 인근 주민들은 사랑산이라고 불러왔고, 옛 문헌에는 예빈산(禮賓山), 예봉산(禮蜂山)으로 기록되어 있던 것이 조선총독부 《조선지지자료》에 예봉산(禮峯山)으로 나와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일제강점기에 오늘의 이름이 된 것으로 추측된다. 수림이 울창하여 조선시대 때는 인근과 서울에 땔감을 대주던 연료공급지였다.

등산코스는 팔당리, 조안리와 조곡에서 오르는 길이 있다. 팔당리에서는 팔당 2리 버스정류장(한일관)에서 철로 쪽 골목길을 따라 굴다리 밑을 지나 마을 회관 앞길로 올라간다. 계곡을 따라 들어가다 오른쪽 사슴목장에서 숲길로 접어들어 조동으로 넘어가는 갈림길이 나오면 가파른 길로 다시 올라가 쉼터에서 능선을 올라 정상으로 향한다.

정 상에 오르면 팔당교와 한강, 검단산, 운길산 등이 바라보인다. 정상에서 북서쪽 안부로 내려서 팔당과 세광사로 가는 큰 길을 따라 630m봉에 올라 잡목림 길을 나아가면 적갑산에 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산은 적갑산을 올라 도곡리로 내려간다. 예봉산만 등산하면 3시간, 적갑산까지 곁들이면 하산까지 3시간 40분이 걸린다.





HSJ_6295.jpg

예봉산 전망대에서...
강건너 검단산과 팔당대교 출발지인 팔당역이 멀리 보인다.

HSJ_6298.jpg
도시 근교에 있고 높지도 안아서 찾아보기 쉬운것 같다.
무엇보다도 중앙선이 가까이 있어서 힘들지 안고 쉽게 가볼수 있는 산 같아보인다.

profile



즐거운 시간 되세요!...

첨부
  • HSJ_6299.jpg [File Size:209.6KB/Download:0]
  • HSJ_6295.jpg [File Size:206.7KB/Download:0]
  • HSJ_6298.jpg [File Size:306.0KB/Download:0]
List of Articles
날짜 조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