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고/data
초오속 (Genus Aconitum)
1A. 다년생이며,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투구모양의 꽃받침잎이 원통형에 가깝다. ----- 진범아속 (subgenus Lycoctonum)
1B. 다년생이나, 돌쩌귀처럼 생긴 딸뿌리가 원뿌리옆에 생성되어 다음해에 번식한다. 투구모양의 꽃받침잎이 모자모양이다. ----- 초오아속 (subgenus Aconitum)
초오아속 (Aconitum sungenus Aconitum)
1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붙어있다.
2A. 잎의 형태는 손바닥 모양에 가까우나, 잎의 기부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꽃색은 보라색이며,
꽃이 떨어지고 발달된 암술(이하 암술)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다. 소화경이 활모양으로 굽어지
는 것이 특징적이다. -----1. 키다리바꽃 (A. arcuatum)
2B. 잎의 형태가 삼각형에 가깝다. 꽃색은 엷은 녹색을 띤 노란색 또는 푸른색이며, 암술에 개출
모가 밀생한다. -----2. 세뿔투구꽃 (A. austro-koreense)
1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3A.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4A. 줄기가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꽃색은 보라색, 잎은 가늘게 5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에 위
로 향한 굽은 털이 밀생한다. -----3. 선덩굴바꽃 (A. ciliare )
4B. 줄기가 곧다.
5A. 꽃색이 노란색 또는 미색이다. -----4. 백부자 (A. koreanum)
5B. 꽃색이 보라색이다.
6A.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다. 한반도 북부 고산지역에 자생한다. -----5. 각씨투구꽃 (A. monanthum)
6B.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하며, 암술에는 털이 없다. 지리산에 자생한다. ----6.지리바꽃 (A. chiisanense)
3B.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7A. 잎의 거치가 둥글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 길이가 짧고 뭉툭하다.
소화경에 굽은털이 밀생하고, 암술에는 털이 없다. -----7. 한라돌쩌귀 (A. japonicum subsp.napiforme)
7B.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8A.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고, 줄기가 곧으며, 꽃이 이삭처럼 달린다. -----8. 이삭바꽃 (A. kusnezoffii)
8B.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9A. 줄기 끝이 가늘어지며 주아를 형성하여 영양번식한다.
10A. 꽃이 피지 않는다. -----9. 싹눈바꽃 (A. proliferum)
10B. 꽃이 핀다. -----10. 개싹눈바꽃 (A. pseudo-proliferum)
9B.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11A. 암술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11. 투구꽃 (A. jaluense subsp.jaluense)
11B. 암술에 털이 없다.
12A. 가지가 분지한다. 북한산에 자생한다. -----12. 서울투구꽃, 진돌쩌귀 (A. seoulense)
12B. 가지가 분지하지 않는다.
13A. 잎이 뚜렷이 3개로 결각된다. -----13. 세잎돌쩌귀 (A.triphyllum)
13B. 잎이 5-7개로 결각되며, 소화경 윗부분에만 개출모가 분포한다. -----14. 그늘돌쩌귀 (A. uchiyamai)
*검색표 풀이*
국명옆에 있는 번호표를 따라가면서 검색표를 읽으세요. 검색표에 나오는 같은 번호에서는 A에 속하는지 또는 B에 속하는지를 판단한후, 바로 다음칸에 나오는 번호로 이동하여 다시 A 또는 B를 선택합니다.
1. 키다리바꽃 (A. arcuatum): 1A-2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붙어있다. 잎의 형태는 손바닥 모양에 가까우나, 잎의 기부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꽃색은 보라색이며, 꽃이 떨어지고 발달된 암술(이하 암술)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다. 소화경이 활 모양으로 굽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2. 세뿔투구꽃 (A. austro-koreense): 1A-2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붙어있다. 잎의 형태가 삼각형에 가깝다. 꽃색은 엷은 녹색을 띤 노란색 또는 푸른색이며, 암술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3. 선덩굴바꽃 (A. ciliare ): 1B-3A-4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꽃색은 보라색, 잎은 가늘게 5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에 위로 향한 굽은 털이 밀생한다.
4. 백부자 (A. koreanum): 1B-3A-4B-5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곧다. 꽃색이 노란색 또는 미색이다.
5. 각씨투구꽃 (A. monanthum): 1B-3A-4B-5B-6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곧다. 꽃색이 보라색이다.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다. 한반도 북부 고산지역에 자생한다.
6. 지리바꽃 (A. chiisanense): 1B-3A-4B-5B-6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곧다. 꽃색이 보라색이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하며, 암술에는 털이 없다. 지리산에 자생한다.
7. 한라돌쩌귀 (A. japonicum subsp. napiforme): 1B-3B-7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둥글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짧고 뭉툭하다. 소화경에 굽은털이 밀생하고, 암술에는 털이 없다.
8. 이삭바꽃 (A. kusnezoffii): 1B-3B-7B-8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고, 줄기가 곧으며, 꽃이 이삭처럼 달린다.
9. 싹눈바꽃 (A. proliferum): 1B-3B-7B-8B-9A-10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줄기 끝이 가늘어지며 주아를 형성하여 영양번식한다. 꽃이 피지 않는다.
10. 개싹눈바꽃 (A. pseudo-proliferum): 1B-3B-7B-8B-9A-10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줄기 끝이 가늘어지며 주아를 형성하여 영양번식한다. 꽃이 핀다.
11. 투구꽃 (A. jaluense subsp. jaluense): 1B-3B-7B-8B-9B-11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12. 서울투구꽃, 진돌쩌귀 (A. seoulense): 1B-3B-7B-8B-9B-11B-12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털이 없다. 가지가 분지한다. 북한산에 자생한다.
13. 세잎돌쩌귀 (A. triphyllum): 1B-3B-7B-8B-9B-11B-12B-13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털이 없다. 가지가 분지하지 않는다. 잎이 뚜렷이 3개로 결각된다.
14. 그늘돌쩌귀 (A. uchiyamai): 1B-3B-7B-8B-9B-11B-12B-13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털이 없다. 가지가 분지하지 않는다. 잎이 5-7개로 결각되며, 소화경 윗부분에만 개출모가 분포한다.
1A. 다년생이며,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투구모양의 꽃받침잎이 원통형에 가깝다. ----- 진범아속 (subgenus Lycoctonum)
1B. 다년생이나, 돌쩌귀처럼 생긴 딸뿌리가 원뿌리옆에 생성되어 다음해에 번식한다. 투구모양의 꽃받침잎이 모자모양이다. ----- 초오아속 (subgenus Aconitum)
초오아속 (Aconitum sungenus Aconitum)
1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붙어있다.
2A. 잎의 형태는 손바닥 모양에 가까우나, 잎의 기부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꽃색은 보라색이며,
꽃이 떨어지고 발달된 암술(이하 암술)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다. 소화경이 활모양으로 굽어지
는 것이 특징적이다. -----1. 키다리바꽃 (A. arcuatum)
2B. 잎의 형태가 삼각형에 가깝다. 꽃색은 엷은 녹색을 띤 노란색 또는 푸른색이며, 암술에 개출
모가 밀생한다. -----2. 세뿔투구꽃 (A. austro-koreense)
1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3A.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4A. 줄기가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꽃색은 보라색, 잎은 가늘게 5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에 위
로 향한 굽은 털이 밀생한다. -----3. 선덩굴바꽃 (A. ciliare )
4B. 줄기가 곧다.
5A. 꽃색이 노란색 또는 미색이다. -----4. 백부자 (A. koreanum)
5B. 꽃색이 보라색이다.
6A.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다. 한반도 북부 고산지역에 자생한다. -----5. 각씨투구꽃 (A. monanthum)
6B.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하며, 암술에는 털이 없다. 지리산에 자생한다. ----6.지리바꽃 (A. chiisanense)
3B.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7A. 잎의 거치가 둥글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 길이가 짧고 뭉툭하다.
소화경에 굽은털이 밀생하고, 암술에는 털이 없다. -----7. 한라돌쩌귀 (A. japonicum subsp.napiforme)
7B.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8A.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고, 줄기가 곧으며, 꽃이 이삭처럼 달린다. -----8. 이삭바꽃 (A. kusnezoffii)
8B.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9A. 줄기 끝이 가늘어지며 주아를 형성하여 영양번식한다.
10A. 꽃이 피지 않는다. -----9. 싹눈바꽃 (A. proliferum)
10B. 꽃이 핀다. -----10. 개싹눈바꽃 (A. pseudo-proliferum)
9B.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11A. 암술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11. 투구꽃 (A. jaluense subsp.jaluense)
11B. 암술에 털이 없다.
12A. 가지가 분지한다. 북한산에 자생한다. -----12. 서울투구꽃, 진돌쩌귀 (A. seoulense)
12B. 가지가 분지하지 않는다.
13A. 잎이 뚜렷이 3개로 결각된다. -----13. 세잎돌쩌귀 (A.triphyllum)
13B. 잎이 5-7개로 결각되며, 소화경 윗부분에만 개출모가 분포한다. -----14. 그늘돌쩌귀 (A. uchiyamai)
*검색표 풀이*
국명옆에 있는 번호표를 따라가면서 검색표를 읽으세요. 검색표에 나오는 같은 번호에서는 A에 속하는지 또는 B에 속하는지를 판단한후, 바로 다음칸에 나오는 번호로 이동하여 다시 A 또는 B를 선택합니다.
1. 키다리바꽃 (A. arcuatum): 1A-2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붙어있다. 잎의 형태는 손바닥 모양에 가까우나, 잎의 기부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꽃색은 보라색이며, 꽃이 떨어지고 발달된 암술(이하 암술)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다. 소화경이 활 모양으로 굽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2. 세뿔투구꽃 (A. austro-koreense): 1A-2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고 붙어있다. 잎의 형태가 삼각형에 가깝다. 꽃색은 엷은 녹색을 띤 노란색 또는 푸른색이며, 암술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3. 선덩굴바꽃 (A. ciliare ): 1B-3A-4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꽃색은 보라색, 잎은 가늘게 5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에 위로 향한 굽은 털이 밀생한다.
4. 백부자 (A. koreanum): 1B-3A-4B-5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곧다. 꽃색이 노란색 또는 미색이다.
5. 각씨투구꽃 (A. monanthum): 1B-3A-4B-5B-6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곧다. 꽃색이 보라색이다.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다. 한반도 북부 고산지역에 자생한다.
6. 지리바꽃 (A. chiisanense): 1B-3A-4B-5B-6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넓은 바늘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한다. 줄기가 곧다. 꽃색이 보라색이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하며, 암술에는 털이 없다. 지리산에 자생한다.
7. 한라돌쩌귀 (A. japonicum subsp. napiforme): 1B-3B-7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둥글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짧고 뭉툭하다. 소화경에 굽은털이 밀생하고, 암술에는 털이 없다.
8. 이삭바꽃 (A. kusnezoffii): 1B-3B-7B-8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과 암술에 털이 없고, 줄기가 곧으며, 꽃이 이삭처럼 달린다.
9. 싹눈바꽃 (A. proliferum): 1B-3B-7B-8B-9A-10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줄기 끝이 가늘어지며 주아를 형성하여 영양번식한다. 꽃이 피지 않는다.
10. 개싹눈바꽃 (A. pseudo-proliferum): 1B-3B-7B-8B-9A-10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줄기 끝이 가늘어지며 주아를 형성하여 영양번식한다. 꽃이 핀다.
11. 투구꽃 (A. jaluense subsp. jaluense): 1B-3B-7B-8B-9B-11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12. 서울투구꽃, 진돌쩌귀 (A. seoulense): 1B-3B-7B-8B-9B-11B-12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털이 없다. 가지가 분지한다. 북한산에 자생한다.
13. 세잎돌쩌귀 (A. triphyllum): 1B-3B-7B-8B-9B-11B-12B-13A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털이 없다. 가지가 분지하지 않는다. 잎이 뚜렷이 3개로 결각된다.
14. 그늘돌쩌귀 (A. uchiyamai): 1B-3B-7B-8B-9B-11B-12B-13B
잎의 기부가 완전히 갈라져 손바닥 형태를 가진다. 잎이 바늘 모양 또는 선모양으로 결각되지 않고, 결각된 폭이 비교적 넓다. 잎의 거치가 뾰족하다. 투구 모양 꽃받침잎의 부리길이가 길고 뾰족하다. 소화경에 개출모가 밀생한다. 줄기가 곧거나 또는 아래로 굽는다. 주아를 형성하지 않는다. 암술에 털이 없다. 가지가 분지하지 않는다. 잎이 5-7개로 결각되며, 소화경 윗부분에만 개출모가 분포한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날짜 |
---|---|---|---|
24 | 테터툴즈(텍스트큐브) http://www.textcube.org | 1351 | 2008.11.10 |
23 | 그누보드 http://sir.co.kr | 1501 | 2008.11.10 |
22 | 제로보드 http://www.zeroboard.com | 1422 | 2008.11.10 |
21 | 카메라 대여점 http://www.slrrent.com | 1213 | 2008.11.10 |
20 | 옛파일 http://www.atfile.com | 2977 | 2008.11.10 |
19 | 80포트 http://www.80port.com | 4081 | 2008.11.10 |
18 | 포토샵 스타일 파일 | 18747 | 2008.11.09 |
17 | 니콘 컷수 확인 프로그램.... | 12855 | 2008.10.22 |
16 | 색상 편집기 | 11706 | 2008.10.08 |
15 | 외부링크 금지 소스 | 14677 | 2008.05.22 |
14 | 스케치효과 포토샵 액션 | 12278 | 2008.05.13 |
13 | 수채화효과 포토샵 액션파일.... | 16840 | 2008.05.13 |
12 | 심심풀이 토정비결 | 11231 | 2007.12.14 |
11 | 이미지 갤러리 (슬라이드쇼, 수동보기 선택) | 267072 | 2006.11.25 |
10 | 틀 테이블 만들기 | 10852 | 2006.10.27 |
9 | 띠 맞추기 | 14210 | 2006.10.26 |
8 | 색상표 | 13032 | 2006.10.08 |
7 | [포토샵] 샤픈 액션 | 15244 | 2006.09.20 |
6 | [포토샵] 오래된사진효과 액션파일 | 12836 | 2006.09.20 |
» | 초오속 에관한 자료 | 12326 | 2006.09.14 |